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언어/자바의 정석 기초편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2-6 리터럴의 타입과 접미사

by life grow 2022. 5. 4.

6. 리터럴의 접두사와 접미사

정수형, 실수형은 타입이 여러개라서 접미사를 통해서 구분한다.

L붙으면 long타입. ()

byte~short타입 리터럴에 접미사는 없고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는 int타입의 리터럴을 사용한다. 

(단 byte~short타입이 저장할 수 있는 범위에 값이어야한다.)

 

float타입은 f,d는 기본값이라 생략가능

대소문자 구분 안하지만 l은 L로 써주는게 좋다.

 

\(역슬래쉬)n은 줄바꿈 문자 = 개행문자라고도 한다.

 

"A" 문자가 하나여도 문자열이다

 

정수형 리터럴은 앞에 접두사를 붙여서 다른 진법으로 표현 가능하다.

접두사 X = 10진수

접두사 0(숫자) = 8진수

접두사 0x = 16진수

접두사 ob = 2진수

접두사도 대소문자 구분 안함

 

20억 넘는 값은 long타입으로 저장. L붙이기

100억은 L을 붙여야지만 20억 보다 작은 값은 안붙여도됨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는 기본적으로 변수의 타입과 리터럴의 타입이 일치해야한다.

일치하지 않아도 허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나 n제곱을 의미하는 기호e가 있으면 실수형 리터럴이다

 

7. 변수의 리터럴의 타입 불일치

 

byte타입 범위: -128~127

 

만일 정수를 10진수가 아닌 8,16진수로 출력하려면

printf로 출력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