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언어/자바의 정석 기초편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2-3 변수란? 변수의 선언과 저장

by life grow 2022. 5. 3.

1. 변수란

변수: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논리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저장 공간으로 다룬다.

각각의 저장 공간에 연속적인 주소를 붙였는데

그걸 '메모리 주소'라고 한다.

 

메모리 주소는 숫자라서 사람이 기억하기 힘들다.

그래서 특정 메모리 영역에 이름을 붙이고

주소대신 이름으로 메모리의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게 해준다. 

 

변수에는 단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2. 변수의 선언

(1) 변수의 선언 이유

값을 저장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

 

(2) 변수의 선언 방법

변수타입 변수이름;  

변수타입은 변수에 어떤 값을 넣어주냐에 따라 달라진다.

정수면     int age;

 

3. 변수에 값 저장하기

(1) 변수에 값 저장하기('='는 등호가 아니라 대입)

int age;            //정수타입의 변수 age를 선언

age = 25;         //변수 age에 25를 저장

int age = 25;  //위의 두 줄을 한 줄로 간단히 할 수 있다.

 

(2) 변수의 초기화 - 변수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모든 변수는 사용하기 전에 적절한 값으로 초기화하는 것이 좋다.

int x = 0;    //변수 x를 선언 후, 0으로 초기화

int x = 5;    //변수 y를 선언 후, 5로 초기화

int x = 0, y = 5;  //위의 두 줄을 한 줄로

 

메모리는 여러 프로그램이 함께 공유하는 자원이라 

사용하기 전에 새로운 값을 저장함으로써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알 수 없는 값을 지우는 것이 초기화다.

 

지역변수는 0으로 자동 초기화되지 않기 때문에 값을 읽기 전에

반드시 초기화를 해줘야한다.

 

4. 변수의 값 읽어오기

(1) 변수의 값이 필요한 곳에 변수의 이름을 적는다.

int year = 0, age = 14;
    year = age + 2000;
    year = 14 + 2000;
    year = 2014;

    age = age + 1;   //변수의 값을 1증가시키는 방법
    age = 14 + 1;
    age = 15;

	System.out.println(age);  //15가 출력된다.